1. 주식/1-1. 기본

[주식#28] 주가 지수 활용법 - 필수적인 금융도구

Jack-go 2023. 8. 16. 06:00
728x90
반응형

시장의 변화를 알 수 있는 지표가 주가 지수입니다.

주가 지수란 주식 시장에서 거래가 되는 개별종목들의 가격변동을 종합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만든 지표 입니다. 시장 성과를 추적하거나 포트폴리오를 평가하거나 지수 연계 투자상품에 투자하려고 할 경우 지수는 필수적인 금융도구 입니다. 

 

주식시장은 건실한가? 채권 시장에는 무슨일이 일어나고 있나요? 상품 가격이 오르고 있나요? 이 모든 질문에 대한 답이 지수와 관련이 있습니다. 그 이유는 지수가 시장 성과를 측정하도록 설계되었기 때문입니다. 또한 경제에 대한 전망이 어느 순간에 어떤 위치에 있는지에 대한 느낌을 전달하기도 합니다. 

 

오늘 우리나라 유가증권시장은 코스피 지수(KOSPI)와 코스닥 지수(KOSDAQ)로 나타냅니다. 미국에는 다우지수, 일본은 닛케이지수, 중국은 상해지수 등으로 종합주가지수를 나타냅니다. 

주식관련이미지
https://steemit.com/kr/@wonnieyoon/2vpq8m

주가지수 산출 방법

코스피 지수의 경우 기준일인 1980년 1월 4일의 코스피 시가총액을 100으로 놓았을 때 이를 기준으로 비교 시점의 시가 총액으로 지수를 계산합니다. 예를 들어 1월 4일의 시가총액이 100억이고, 현재의 시가총액이 2500억이라면 코스피 지수는 2500이 되는 것입니다. 

  • 코스피 지수 = (비교 시점의 시가 총액 / 기준일의 시가 총액) * 100

 

코스닥 지수는 똑같은 방법으로 1997년 7월 1일의 코스닥 시가 총액을 기준으로 계산합니다. 다만 코스닥 시가 총액이 코스피에 비해 많이 낮다보니 기준을 1000으로 잡았습니다. 즉, 기준일의 코스닥 시가 총액을 1000으로 하고, 이를 기준으로 비교 시점의 시가총액으로 지수를 계산합니다. 

  • 코스닥 지수 = (비교 시점의 시가 총액 / 기준일의 시가 총액) * 1000

 

코스피 200, 코스닥 150 지수는?

코스피 200은 코스피 시장에 상장되어 있는 종목 중 시장 대표성, 유동성 등을 고려하여 200개 종목을 선정하여 지수로 나타낸 것입니다. 코스닥은 150개의 종목을 선정하여 코스닥 150이라는 대표 지수를 사용합니다. 그리고 이와 함께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의 통합지수인 KRX300지수도 사용하고 있습니다. 

 

 

주가지수를 활용한 매매

 

먼저 아래 내용들은 위에서 설명한 내용을 봤다면 이해를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지수란 결국 개별 종목들의 가격을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시장의 흐름을 보여주는 것입니다. 그래서 투자자 입장에서는 상황이 좋을 때 투자를 하고 그 반대라면 투자를 보류하는 것이 옳은 판단입니다. 

 

코스피지수

기본적으로 지수가 떨어지고 있다는 얘기는 종목별 주가의 평균 값이 떨어지고 있다는 얘기 입니다. 그래서 지수가 떨어지는 시기에는 매매를 최대한 보류하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현재처럼 20일선과 60일선을 뚫고 하락했을 경우에는 더 하락할 수 있으니 항상 확인을 하고 투자를 해야합니다. 

 

이평선 차트로만 봤을 경우 120일선까지 해서 2500원까지 떨어질 수 있는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최소한 60일선까지 올라오는 것을 확이하고 매매하는 것이 안전한 투자 입니다.

 

코스피지수이평선

그리고 위의 사진처럼 지수가 상승시에도 이평선과 벌어진 만큼 언젠가는 다시 만난다는 것을 생각하고 매매를 해야합니다. 주식은 항상 상승만 하지 않고 항상 하락만 하지 않기 때문에 항상 확인이 필요로 합니다. 

 

지수와 반대로 움직이는 종목 선정

지수와반대로움직이는 항목

위 내용과 반대로 지수는 떨어지더라도 오르는 종목들이 입니다. 지수가 떨어진다고 해서 모든 종목이 하락하는 것은 아닙니다. 이런 종목들은 지수와 반대로 움직일 만큼 큰 거래량과 추세가 발생한 경우 입니다. 따라서 지수를 이기고 상승하는 종목들이 있는데 이러한 종목들을 공략해서 매매를 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지수를이기는항목
현대차주가

위 사진으로 봤을 경우 3월에 지수는 하락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아래 현대차의 경우 3월에 어느정도 하락은 있었지만 크게 영향을 받지 않고 상승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그 이후까지 계속 상승해 가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처럼 지수와는 반대로 움직이면서 거래량과 강항 추세를 보여주는 종목들이 존재합니다.

 

지수만 확인하더라도 반은 성공할 수 있다....

매매 시에 지수의 상황을 항상 확인하는 것은 중요한 부분 입니다. 시장의 전체 흐름을 파악해야 하며, 좋은 주식이라도 시장 전체적으로 약세장일 때는 종목들 전반적으로 약세일 수 밖에 없습니다. 이번 에코프로 상황만을 보더라도 공매도로 모든 물량이 풀리면서 전체적으로 지수가 하락하면서 거의 모든 종목들이 하락을 했습니다. 하지만 당시 삼성전자 쪽으로 물량이 또 몰리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전체적인 흐름을 볼 수 있다면 이러한 부분에서도 대응을 빨리 할 수 있는 것입니다. 

728x90
반응형